[손상사망] 우리나라 자살통계, 1일 자살 사망자 36명

반응형

1일 자살사망자 수
제13차 국가손상종합통계(질병관리청)

 

1. 국가손상종합통계는 다양한 형태로 생성되는 손상 자료를 통합 표준화한 자료이다. 

2010년 6개 기관(농촌진흥청, 도로교통공단, 학교안전공제중앙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질병관리청, 국가손상통합감시체계 운영사업단)이 협력하여 국가손상종합통계를 처음 발간하였다. 2012년 부터는 중앙소방본부, 국민건강보험공단, 2-16년부터는 국립중앙의료원, 한국소비자원, 2022년부터는 어린이집안전공제회, 2023년부터는 해양수산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참여하였다. 

국가손상종합통계는 손상의 발생부터 119구급대 이송, 응급실/외래방문, 입원, 사망까지의 자료를 통합하여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전체 손상의 규모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 세계보건기구에서 정의하는 손상(Injury)은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 사고의 결과로 발생하는 신체와 정신건강 측면의 해로운 결과를 말한다. 본 자료에서는 사고 또는 중독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우로 손상을 정의하였다. 

주요 손상의 종류는 교통손상, 직업손상, 농업관련, 어업관련, 학교발생, 추락손상, 폭력/타살손상, 자해/자살손상이다. 

 

3. 자해/자살손상 통계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2021년 기준)

1일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는 36.6명이다.

우리나라 손상사망원인 1위는 자해/자살이다.

자살로 인해 39분마다 한 명씩 사망한다. 

자살 시도자는 여성이 남성의 2배이다. (남자 9,109명, 여자 16,425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