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고금리가 2023 추석 장바구니에 미치는 영향

반응형

IMG_2682.JPG

농촌진흥청 보도자료(3고 시대, 소비자 장바구니 어떻게 달라졌나?)에 대한 주요 내용입니다. 

etc-image-1

금리, 물가, 환율의 변화

etc-image-2
금리, 물가, 환율의 변화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015년 대비 가파르게 상승하였음을 보여줍니다.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주요국의 고강도 금리 인상으로 촉발된 3(고물가·고금리·고환율) 현상이 농식품 소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최근 3년 대비(22/19): 물가 17.7%, 기준금리 2%P, 환율 126.3 

 

 

소비에 미치는 영향

’20, ’21년에는 코로나19로 신선식품 구매가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22년에는 다시 감소하여 코로나19 발생 전 추세로 회귀하였음.

* 신선식품 구매액(10): (’19)37,861(’20)41,844(’21)42,633 (’22)39,717

 
반응형

물가가 급격히 상승한 최근 3년간, 전체 농축수산물 가구당 구매액은 1.4% 줄었으나, 과일 구매액은 9.3%, 채소는 6.9% 감소했고, 축산물은 0.8% 증가함

물가상승으로 구매를 줄인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설문결과에서도 과일, 채소, 축산물 순으로 나타남

 

가격이 내리면 구매를 늘리는 농식품 순위는 1위 과일류(32.9%), 2위 소고기_국산(21.5%), 3위 돼지고기_국산(8.0%)

 

환율 인상이 수입 과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수입 과일의 구매액이 감소함.

 

구매처별 비중: 구매 비중이 가장 높은 슈퍼마켓의 비중이 줄고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인식되는 온라인 시장으로 농식품 구매가 이동함.

 
 
 

냉동농산물, 못난이농산물, 유통기한 임박 농산물에 대한 의견

- 가격 측면: 유통기한 임박 농산물이 4.06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일반채소는 2.14점으로 가장 가격이 비싼 것으로 평가

- : 일반농산물이 3.50점으로 가장 높고, 냉동농산물이 최저점

- 식품 안전성, 품질: 일반농산물이 가장 높고, 유통기한 임박 농산물이 최저점으로 평가됨

- 영양(건강): 일반농산물이 가장 높고, 냉동농산물이 가장 낮음

- 구매 편리성, 조리의 편리성: 냉동농산물이 가장 높았음

 

 

 

결론

 

물가와 금리 인상으로 경제가 어려워지면 가장 먼저 줄이는 품목은 과일이고, 반대로 좋아지면 증가하는 것도 과일이다. 

실속형 소비는 유통기한 임박 농산물과 비뚤이 농산물 등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에도 온라인 시장은 더우 커지고 있다. (슈퍼마켓은 계속 줄고 있다)

물가 상승으로 구매를 줄인 농산물은 과일, 채소, 축산물 순이다. 


좋아요(♥)와 댓글을 남겨주시면 많은 힘이 될 거예요.

화면 왼쪽 하단에서 "보뜰행정사 구독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edited_edited_botteul.bmp
보뜰행정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