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및 식물보호분야 국가기술자격증, 50대 이상 시니어 사이에서 붐

나무의사가 요즘 인기라고 합니다.

나무의사는 말 그대로 나무가 아프거나 병이 들었을 때 이를 진단하고 치료해 주어 나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관리해 주는 직업이다.

나무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관련 학위를 취득하거나 수목 진료 관련과 자격 기준을 충족하고 지정된 양성기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150시간 이상의 교육을 이수한 뒤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비로소 나무의사가 된다. 나무의사는 나무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의 필요성 증대, 자연보호와 환경에 대한 관심 그리고 개인 나무 병원 설립 가능 등으로 인해 인기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etc-image-0
한국임업진흥원 홈페이지

 

etc-image-1
수목치료기술자 양성기관



etc-image-2
한국산업인력공단 보도자료

한국산업인력공단2025년 4월 5일 식목일을 맞아「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6개 종목」에 대한 응시 및 취득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2023년 자격취득자 설문조사 통계 결과에 따르면, 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취득자의 55.9%50대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식물보호기사를 제외한 모든 등급에서 50대 이상이 가장 많이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시 당시 경제활동 상태 또한 재직자(임금근로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응시목적은 취업 43% 및 자기개발이 25.8%로 높게 나타났는데,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산림 및 식물보호 분야 자격은 50대 이상의 재직 중인 근로자가 퇴직 후 재취업을 목적으로 많이 취득하는 것으로 보인다.

50대 이상 취득자의 취업률 또한 높게 나타났다. 2023년 취득자의 2024 기준(7, 고용보험 기준) 취업률을 살펴보면, 50대 취득자의 취업률은 48%, 60대 이상은 69.6%40대 이하보다 취업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etc-image-3
국가기술자격취득 분석결과
etc-image-4
자격취득자의 노동시장 성과

자격취득자의 연령별 노동시장 성과

연령대별 취득당시 미취업자 취업인원
(조회일기준)
취업률
(조회일기준)
20 1,404 511 36.4%
30 281 106 37.7%
40 492 179 36.4%
50 1,197 574 48.0%
60대 이상 1,085 755 69.6%

 

자격취득자의 학력분포

종목명 고등학교이하 전문대학 대학교 석사 박사 무응답 총합계
전체 1,312 732 4,762 594 55 10 7,465
17.6% 9.8% 63.8% 8.0% 0.7% 0.1% 100%
산림기술사 2 0 7 0 0 0 9
22.2% 0.0% 77.8% 0.0% 0.0% 0.0% 100%
산림기사 137 190 1,988 189 20 1 2,525
5.4% 7.5% 78.7% 7.5% 0.8% 0.0% 100%
산림
산업기사
100 86 271 29 3 0 489
20.4% 17.6% 55.4% 5.9% 0.6% 0.0% 100%
산림기능사 987 308 857 154 7 7 2,320
42.5% 13.3% 36.9% 6.6% 0.3% 0.3% 100%
식물보호
기사
23 20 1,023 126 16 2 1,210
1.9% 1.7% 84.5% 10.4% 1.3% 0.2% 100%
식물보호
산업기사
63 128 616 96 9 0 912
6.9% 14.0% 67.5% 10.5% 1.0% 0.0% 100%

 

 

숲 나무 관련 일자리 소개

etc-image-5
숲에서 일하는 100가지 방법

 

etc-image-6
숲해설가

 

etc-image-7
유아숲지도사

 

etc-image-8
수목원전문가

 

etc-image-9
숲길등산지도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