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앓이 중인 20대 여성에게 [심리학자의 조언]

숲 심리치료

 

1. 통계자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송파구병, 보건복지위)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받은 ‘우울증 진료인원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18년-’22년)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430만 407명으로 2018년 75만 2,976명에서 2022년 100만 744명으로 32.9% 증가했다. 100만 명 이상이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것은 지난해인 2022년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진료를 받은 인원 중 남성은 141만 6,948명(33%), 여성은 288만 3,459명(67%)으로 여성 환자가 2배 이상 많다.

 

지난해 기준 연령별로 분석하면 20대 우울증 진료인원이 18만 5,942명(18.6%)으로 가장 많았으며, 30대 16만 108명(16%), 40대 14만 2,086명(14.2%) 순이었다. 성별과 연령을 함께 고려했을 때 가장 많이 진료를 받은 건 20대 여성으로 12만 1,534명(12.1%)이었으며, 5년간 가장 가파르게 증가한 것도 20대 여성이었다. 2018년 5만 7,696명에서 2022년 12만 1,534명으로 무려 110.65%가 증가했다.

남인순 의원은 “우울증 진료인원이 연평균 7.4% 증가하고 있어 매우 우려스럽고, 전국민의 마음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것 같다”라고 지적했다. 남인순 의원은 “스트레스와 불안을 부추기는 심리적·사회적 요소가 많은 한국 사회에서 우울증 과 같은 정신 병리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우울증도 조기에 치료하면 호전시킬 수 있는 만큼 우울증 치료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을 통해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2. 정부 정책

한편, 보건복지부에서는 청년복지 5대 과제를 2023년 9월 19일 발표했는데

여기에서 아래와 같이 청년 심리상담 지원사업을 제시했다.

청년들이 마음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정부의 투자가 대폭 확대된다. 그간 청년들에게 큰 호응을 얻어온 청년마음건강바우처를 확대하여, 내년부터 새롭게 추진되는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24년, 청년층 포함 8만 명)을 통해 더 많은 심리상담 서비스의 기회가 제공된다. 청년들은 전국 청년마음건강센터를 통해 정신질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도 이용할 수 있다. 청년층 정신건강검진도 강화한다. 이르면 ’ 25년부터 청년들이 더 많은 정신질환(조현병·조울증 추가)에 대해서 더 자주(10년 → 2년 주기) 검진받을 수 있다.

* 자세한 정책자료는 아래 참조

2023.09.20 - [업무 안내/행정정보] - 청년에 대한 복지정책 강화

 

청년에 대한 복지정책 강화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3년 9월 19일 당·정 협의회를 열어 정책 당사자인 청년층의 의견을 직접 듣고 반영한 5대 과제를 확정·발표했는데, 그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현실태와 문제

botteul.tistory.com

 

3. 심리학자의 조언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일본보다 약 1.5배 높고 중국, 홍콩과 폴란드, 미국보다 2배 높고 바레인이나 그리스보다는 10배 높다고 한다. 그리고 OECD 회원국 평균 2배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미국 국방성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이라크 전쟁 참여로 공포와 스트레스에 의한 외상의 후유증으로 자살한 미군은 인구 10만 명당 19.9명이었는데, 같은 해 대한민국은 OECD 기준으로 2005년 31.6명, 2018년 한국 자살률은 25.5명이었다. 한국의 자살률이 참전 미군보다 더 높았다.

우울증을 초래하는 이분법적 사고(all or nothing thinking)

이분법적인 사고는 흔히 흑백논리(Black-and-White Thinking), 양 극단적 사고(Polarized Thinking), 분열(Splitting)적 사고라고도 한다. 흑백논리는 말 그대로 삶을 검거나 하얀 것으로만 판단한다. 인간의 삶은 성공하거나 실패인 삶이고, 좋거나 나쁠 뿐이며 중간 지대는 없다. 사회적인 형상도 정의 또는 불의라고 판단하고 평가한다. 흑백논리로 인간관계를 맺는 사람은 상대방이 자신의 요구나 자신의 의견에 일치하면 좋은 사람, 자신의 의견과 다른 사람은 나쁜 사람이라고 판단한다. 자신의 마음에 들면 도덕적으로 인간적으로 훌륭한 사람, 마음에 안들면 형편없고 비도덕적이고 나쁜 사람이다. 이렇게 극단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은 인간관계도 경직되고, 소외되고, 주위 사람들이 불편해한다.

 

발달과정에서 이분법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기는 3~4살 정도의 유아이다. 이들은 엄마가 자신이 원하는 사탕을 주거나 장난감을 사주면, 좋은 엄마이고, 안 사주면 나쁜 엄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못 가지면 울고 떼를 쓰고 부모님의 재정 상태는 고려하지 못하고 이기적이다. 성인이 주위의 모든 사람이나 세상을 흑백논리로 보면서 남을 향해서 흑백논리를 적용하면 대인관계가 융통성이 없고, 고지식하고 경직되기에 대인관계가 어렵고, 자신에게 흑백논리를 엄격하게 적용하면 자신의 부족한 점이나 취약점을 보면서 자신을 비난하고 평가하고 심한 경우 자신이 자신을 저주하고 공격하면 자살로 이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신이 원하는 일에 성공하면 “나는 모든 일을 완벽하고 최고로 성취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면 기분이 최고조에 이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서 자신의 약점이 문제가 생기면 “내 존재는 실패작이다.”라고 생각하면서 심각한 우울증에 빠진다. 이러한 극단적인 사고가 반복되면 감정 기복이 심할 수밖에 없다.

채규만의 마음이야기(코메디닷컴 2023.9.27.)

극단적인 사고 대신에 “좀 더 좋고, 좀 더 나쁘고(More or Less)”의 현실적인 사고방식이 중요하다. 즉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성취하거나 성공하면 “내가 원하는 것이 이루어져서 좀 더 기분이 좋다(More)”라고 생각하고, 자신이 원하는 것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좀 더 기분이 안 좋다(Less).”라고 생각하면 그렇게 나쁘지 않다. 사실 엄격하게 따지고 보면 우리 인생은 어느 것이든지 항상 좋은 것만 있지 않다. 모든 것은 장단점이 있다. 흔히 돈이 많으면 행복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돈이 많아서 방탕한 삶을 살 수도 있다. 여성이 예쁘면 행복할 것 같지만, “가인박명(佳人薄命)이다.”란 말이 있듯이 여성이 너무 예뻐도 여성의 운명이 순탄치 않을 수도 있다. 건강하면 행복할 수도 있지만, 자신의 건강을 너무 자만하다가 무리한 운동을 하거나 모험적인 행동을 해서 치명적인 손상을 볼 수도 있다.

내 인생은 실패작이기에 살만한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면서 우울에 빠진 사람이 있다면, More or Less로 자신의 삶을 재해석하기를 바란다. 즉 “내 인생은 내가 원하는 만큼 이루어지지 않고 소중한 사람을 상실해서 좀 더 기분이 안 좋고, 좀 실망스럽네. 그래도 나는 가진 것이 많고 원하는 것을 많이 이루고 살기에 열심히 살아가자.”라고 생각하면 우울증에 빠져들지는 않는다.

 

4. 우울증(원인)에 대한 생각들

휴대폰을 너무 많이 봐서 그렇다? SNS와 자신의 초라한 현실을 무비판적으로 비교

스트레스와 불안을 부추기는 한국사회? 사실 20대뿐만 아니라 중장년층의 우울증도 심각하다.

운동을 하지 않고 햇볕을 쬐지 않아서? 그것이 원인인지 결과인지 불명확하다.

 실제로는 변함이 없는데, 단지 병원진단을 많이 받아서 통계가 왜곡되어 보이는 것? 그동안 한국사람들은 우울증이나 정신병원 상담치료를 끔찍한 일로 인식되어 기피해 왔다. 서구문화에 좀 더 친숙한 젊은 세대가 병원진단과 치료에 대해 거부감이 적어 통계적으로 많은 수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5. 맺음말

 

우울증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모두에게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바쁘다고) 보고도 못 본척 하지 말자

 

물질적/경제적/정치적 치열함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제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가치관, 줄세우기 교육에서 벗어나기, 낙관적인 사고방식, (남과) 비교하지 않고 자신과 대화하는 의식, 생활체육에 참가하기, 사회문화 활동 참여 등 다양한 해법을 찾아봐야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