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명
①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2021년 기준 83.6세(남자 80.6세, 여자 86.6세)이며, 2000년 이후 약 7.6세(연평균 0.4세) 증가하였다.
② 질병이나 손상이 없이 건강한 상태로 살 수 있는 건강수명은 2019년 기준 73.1세로 생존기간 중 10.5년(생존기간의 12.2%)은 질병이나 손상을 앓다가 사망한다.
③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약 950만명으로 인구 전체에서 18.4%를 차지하며, 2025년에는 20.6%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망
① 2022년 기준 연간 약 37만 3천명이 사망하였고, 70세 이상 연령층이 전체 사망자의 74.3%를 차지했다.
② 2000년-2009년 사이 전체 조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부터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0-29세 연령층의 사망률은 절반 가까이 감소하였다.
③ 2000년-2022년 사이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47.4% 감소하였으며, 2021년까지 지속 감소하다가 2022년 코로나19 사망자 증가로 일시 반등한 것으로 보인다.
사망원인
① 2022년 기준 10대 사망원인은 암, 심장 질환, 코로나19, 폐렴, 뇌혈관 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알츠하이머병, 당뇨병, 고혈압성 질환, 간 질환 순이었다.
- 최근 20년 안에, 연도별 사망원인 10위 내에 감염성 질환이 포함된 경우는 2022년이 유일하다.
- 연령별 사망원인 순위 1위는 10대-30대 고의적 자해(자살)이고, 40대 이상은 암이었다.
② 비감염성 질환(NCDs)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 사망자 중 74.3%를 차지하였고, 감염성질환이 18.6%, 손상(사고, 자해, 가해)이 7.2%였다.
- 비감염성 질환 중에서 암(30.1%), 순환기계질환(24.9%), 당뇨병(4.0%), 호흡기계질환(5.5%) 등 4대 만성질환이 64.3%를 차지했다.
- 감염성 질환 구성비의 증가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의 증가에서 기인하였다.
[감염성질환 및 모성사망 등]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A00-B99), 수막염, 뇌염, 척수염 및 뇌척수염(G00, G03, G04), 인플루엔자(J09-J11), 폐렴(J12-J18), 임신 출산 및 산후기(O00-O99), 출생 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P00-P96), 영양실조 및 기타 영양결핍증(E40-E64)
[비감염성질환] 암(C00-C97), 순환기계질환(I00-I99, 심뇌혈관질환), 당뇨병(E10-E14), 호흡기계질환(J00-J08, J19-J98, U04) 등 감염성질환과 손상을 제외한 나머지 사망
[손상]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V01-Y89)
* 비감염성질환이란?
비감염성질환(NCDs) 정의: 사람 간 전파되지 않고 장기간 앓으며 서서히 진행하는 만성질환(WHO)
세계보건기구(WHO)는 만성질환을 감염성 질환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비감염성질환(Non-comunicable disease, NCD)이라고 표현함. 이는 결핵, HIV/AIDS, 한센병 등 만성감염성질환(chronic communicable disease)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음.
- 주요 만성질환은 4개 유형으로, 심뇌혈관질환(심장질환, 뇌졸중 등), 암, 만성호흡기질환(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등), 당뇨병을 의미함.
질병부담과 위험요인
① (국내) 한국인의 질병부담을 전반적으로 조명한 연구는 장애보정손실년수(DALY)를 기준으로 2002년, 2007년, 2012, 2015년 4차례에 걸쳐 시행
- 질병분류, 발생률 추정방법, 장애가중치 등 방법론적 차이로 인해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활용
조기사망과 장애로 인한 질병부담에 주로 기여하는 위험요인은 흡연, 고혈당, 알코올, 식이위험, 고혈압 등이다. 주로 생활습관이나 대사질환과 관련되어 있다.
2023.12.02 - [업무 안내/행정정보] - [2022년 생명표] 당신이 몇 살까지 사는지 알려드림
2023.09.10 - [업무 안내/행정정보] -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