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지역 고유의 특성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 ‘지역특성살리기 사업’ 공모 결과 최종 27개 지자체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지역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을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총 5개 시책으로 기획(①소규모 마을 경제 활력 제고, ②지역특성 활용 로컬디자인, ③일자리지원센터 활성화, ④전통시장 주변 편의시설 조성, ⑤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 이번 공모사업은 접수된 총 169곳을 대상으로 민간 전문가와 중앙부처 실무자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실무검토, 서면심사 및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하였고, 총 200억원(지방비 포함)이 지원될 예정이다.
□ 우선 ‘소규모 마을 경제 활력 제고’ 분야에서는 세종, 경기 연천, 강원 정선, 충북 괴산, 전북 남원, 전남 고흥, 경남 거창 7곳이 선정되었다.
○ 정부는 읍·면을 대상으로 타 지역민 유입을 위한 마을 자체 수익원 발굴로 최소한의 경제활동이 보장될 수 있도록 지역 고유 자원(역사, 문화 등)을 활용한 시설 조성 및 프로그램 기획을 지원한다.
□ ‘지역특성 활용 로컬디자인’ 분야에서는 인천, 대전, 울산 북구, 경기 안산, 충남 예산, 전남 진도, 경북 칠곡 7곳이 선정되었다.
○ 지역 고유 특색을 이미지화하여 거리, 공공시설 등에 적용하고, 관광 프로그램 등과의 연계를 통해 로컬디자인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분산된 일자리 시설·인력·정보 통합을 지원하는 ‘일자리지원센터 활성화’ 분야에는 전남, 대구 수성, 전북 익산 3곳이 선정되었다.
□ ‘전통시장 주변 편의시설 조성’ 분야에서는 충북 단양, 충남 천안, 경북 청도, 경남 고성 4곳이 선정되었다.
○ 정부는 전통시장에 지역 특색을 반영함으로써 방문객 증대로 인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매출 증가 및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시장유인·고객편의 시설 조성 및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등을 지원한다.
□ 골목상권별 환경에 적합한 특성화 사업 추진으로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분야에는 부산 동래, 대구 동구, 대구 북구, 경기 의왕, 전남 목포, 경북 청송 6곳이 선정되었다.
□ 최병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이 대체 불가능한 고유한 특성을 최대한 발휘해야 한다”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이 비교우위를 가짐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의 동력으로 작용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지역특성살리기 사업 공모 결과(27개 지자체)
단위 : 백만원 | ||||||
유형 | 지자체 | 사업 | 총사업비 | 특교세 | 지방비 | |
1 | 소규모 마을경제 활력제고 | 세종 | □아미산 아래 미래를 그리는 연동면 노송마을 ▸마을회관 리모델링(사랑방, 마을슈퍼마켓, 체험장 등), 마을보호수 경관개선, 농촌체험 프로그램 제공 |
200 | 100 | 100 |
2 | 경기 연천 |
□청산 초성리역 문화공간 조성 ▸(구)초성리역 광장 환경개선 및 역사 내 주민· 방문객을 위한 쉼터형 문화공간 조성 |
400 | 200 | 200 | |
3 | 강원 정선 |
□ 이끼 커뮤니티 카페 조성 ▸유휴시설 리모델링을 통해 이끼테마 커뮤니티 카페, 정원, 돌담길 등을 조성 |
400 | 200 | 200 | |
4 | 충북 괴산 |
□칠성마을 골목박물관 거리 조성 ▸골목박물관 전시장 공공디자인, 거리 환경개선, 플리마켓 운영 등 프로그램 마련 |
400 | 200 | 200 | |
5 | 전북 남원 |
□하주마을 다시 청춘 프로젝트 ▸농협 폐창고 리모델링을 통해 발효테마 마을카페 조성, 발효체험·농촌체험 프로그램 운영 |
400 | 200 | 200 | |
6 | 전남 고흥 |
□사랑방 손님과 유자역사관 ▸대청마을 유휴 커뮤니티센터 리모델링하여 ‘대청유자 역사관’ 조성, 관련 교육·체험프로그램 운영 |
400 | 200 | 200 | |
7 | 경남 거창 |
□대바지 ‘진상 무’ 부활사업 ▸마을 유휴지 활용 무밭 조성, 주말 체험농장 운영, 무 요리교실, 마을 사찰체험 등 프로그램 제공 |
400 | 200 | 200 | |
8 | 지역특성을 활용한 로컬디자인 | 인천 | □인천섬 통합 로컬디자인, 노을바다역 168 ▸인천섬 통합브랜드(‘노을가도’) 플랫폼 구축, 덕적도 선착장·바다역·시장 등 디자인 시범적용 |
1,000 | 500 | 500 |
9 | 대전 | □밝은 빛 ‘궁동 D-스타’ 조성 ▸통합 로컬브랜드 개발, 골목 디자인(파클렛 조성), 창업문화확산 프로그램 운영 |
900 | 450 | 450 | |
10 | 울산 북구 |
□울산숲 Beyond 100 ▸울산숲 통합브랜드 개발, 폐선부지·거점공간 등 디자인 적용,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발굴 |
900 | 450 | 450 | |
11 | 경기 안산 |
□다문화마을특구 스마트디자인 빌리지 ▸통합브랜드개발, 다문화마을특구 스트리트몰 조성, 음식특화거리 디자인, 맛투어 프로그램 제공 |
1,000 | 500 | 500 | |
12 | 충남 예산 |
□통합로컬브랜딩 및 주교로 공공디자인 ▸통합 로컬브랜드 개발, 빈점포 유휴공간 이용 공공디자인 실험존 조성 |
900 | 450 | 450 | |
13 | 전남 진도 |
□ 녹진관광지 상권 특화가로 조성 ▸명량 모티브 로컬디자인 공공시설물 확충,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주말장터 리모델링 |
900 | 450 | 450 | |
14 | 경북 칠곡 |
□미군부대 특화거리 조성 ▸로컬브랜드 개발, 로컬·커뮤니티공간 디자인 적용, 관문조형물, 야간경관, 파클렛쉼터 등 조성 |
1,000 | 500 | 500 | |
15 | 일자리 지원센터 활성화 | 전남 | □전남일자리플랫폼 서부센터 시설개선 ▸센터 장소이전 통한 서비스공간 확대, 일자리 통합정보플랫폼 운영으로 일자리서비스 다양화 도모 |
725 | 360 | 365 |
16 | 대구 수성 |
□수성구창업·일자리센터 확장 이전 ▸분산된 창업·일자리센터를 수성대학교 내 시설로 통합 확장·이전하여 취·창업 지원역량 제고 |
1,000 | 500 | 500 | |
17 | 전북 익산 |
□익산시 통합일자리센터 구축 ▸4개의 분산된 일자리센터를 통합하여 일자리지원 플랫폼 구축, 수요맞춤형 원스톱 구직서비스 제공 |
1,000 | 500 | 500 | |
18 | 전통시장 편의시설 조성 | 충북 단양 |
□‘단양구경시장 가면 다있다!’ 일거(去)다득 공간 만들기 ▸작은도서관·갤러리·문화광장 등 고객쉼터 문화공간 조성, 이동약자 편의 개선, 마늘조명등 설치 |
600 | 300 | 300 |
19 | 충남 천안 |
□천안 별빛우물 성정시장 개선 ▸게이트 개선, 안내사인 시인성 강화, 방문객 쉼터공간, 무인 공유카트 대여소 조성 |
900 | 450 | 450 | |
20 | 경북 청도 |
□쉼(休)Fe(stival)소(상공인)생(生), 활력넘치는 청도시장 ▸주출입구 디자인·환경 개선, 방문객 쉼터 확충, 빈점포 활용 먹거리타운 조성 |
1,000 | 500 | 500 | |
21 | 경남 고성 |
□고성공룡시장 힐링환경 조성 ▸디자인·보행로 개선 등 골목 바닥환경 정비, 문화공간 신설 및 옥상힐링캠핑존 조성 |
600 | 300 | 300 | |
22 | 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 부산 동래 |
□동래방래 가는 길_명륜1번가 프로젝트 ▸진입관문 상징물, 바닥디자인, 그래픽파사드 등 조성, 상인역량 교육, 청년창업 모집, 골목길 디자인 개발 |
900 | 450 | 450 |
23 | 대구 동구 |
□‘우리 모두 동대구로, hot한 e-끌림’ ▸랜드마크 설치, 특화브랜드 개발, 공공시설물 디자인 거리환경 개선, 빈점포 활용 복합커뮤니티센터 조성 |
1,000 | 500 | 500 | |
24 | 대구 북구 |
□함지산먹골촌 골목상권 활성화 ▸스트리트 뮤지엄 운영, 사인물·보행로 디자인, 함지쉼터 조성, 주민참여(‘함지산愛’ 운동) 브랜딩 |
480 | 240 | 240 | |
25 | 경기 의왕 |
□청계맑은숲먹거리마을 파란곰계곡 조성 ▸가로등 아트 조형물, 이색 특화거리, 인터렉티브 보행공간, 상권 랜드마크 등 조성 |
700 | 350 | 350 | |
26 | 전남 목포 |
□뒷개 청춘골목 상권활성화 ▸‘뒷개’캐릭터·BI 개발, 시장 내 테마골목 구축, 지역민 네트워킹 커뮤니티 조성, 국도1호선 영화제 개최 |
900 | 450 | 450 | |
27 | 경북 청송 |
□달빛 내려앉은 달기약수거리 활성화 ▸가로환경 정비, 문화복합공간 로컬 앵커스토어 건립, 지역자원 활용 체험관광 플랫폼 조성 |
2,000 | 500 | 1,500 |
지역특성살리기 사업공모 우수사례
지역특성살리기 사업 개요
○ (추진배경) 지역 특성화 사업추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 (총사업비) 총200억원(특교세 100억원, 지방비 100억원)
○ (사업내용) 지자체 환경 및 자원 등 지역특성을 활용한 지역경제활성화 목적의 5대 과제를 선정, 지자체가 지역 여건을 반영하여 추진
○ (추진경과) 사업공모(5.12.~6.30.)→ 실무검토(~7.14.)→ 서면심사(8.8.) → 현장심사(8.16.~9.22.)→ 최종선정(10.5.)
○ (소규모 마을 경제 활력제고) 지역대표 자원(자연, 동물, 사람)을 활용한 경관개선 등 정비를 통한 읍․면 단위 이하 유동인구 유입
※ 산책길, 연못, 공원, 둘레길, 꽃밭 조성 외, 나비, 반딧불 등 지역자원 특색을 활용한 환경 조성 등 지원
○ (지역특성 활용 로컬디자인) 지역의 정체성과 특성을 반영한 공공시설물‧거리 미관 개선으로 지역상권 및 관광 활성화
※ 벤치, 의자, 정류장, 자전거 정차대, 휴지통, 음수대 등 시설물에 대한 지역상징물을 적용한 디자인을 적용해 거리브랜드 이미지 형성
○ (일자리지원센터 활성화) 지역 주민에게 지역기업의 고용수요를 알리고 창업정보를 제공하는 등 일자리 원스톱 서비스 제공
※ 일자리 지원과 관련한 공간(일자리 지원센터), 정보(통합정보 플랫폼), 프로그램(취창업 프로그램)의 통합제공체계 구축
○ (전통시장 주변 편의시설 조성) 전통시장 주변에 실내놀이터 등 편의시설 등 조성을 지원하여 낙후된 이미지 및 접근성 개선
※ 어린이 동반 주민, 젊은층 등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키즈카페 등 편의시설 확충
○ (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골목상권을 유동인구 등 고려, 고밀도‧저밀도 지역으로 구분하고 상권 특성화 및 상권의 공동체 기능 지원
※ 지역 특성화 골목 조성 및 지역 커뮤니티 중심의 상권 유지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