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특성살리기 사업 공모결과 27개 지자체 선정

반응형

 

지역특성살리기 사업 선정 결과(행안부)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지역 고유의 특성활용하여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 지역특성살리기 사업공모 결과 최종 27개 지자체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지역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을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총 5개 시책으로 기획(소규모 마을 경제 활력 제고, 지역특성 활용 로컬디자인, 일자리지원센터 활성화, 전통시장 주변 편의시설 조성, 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이번 공모사업은 접수된 169을 대상으로 민간 전문가와 중앙부처 실무자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실무검토, 서면심사 및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하였고, 200억원(지방비 포함)지원될 예정이다.

 

우선 소규모 마을 경제 활력 제고 분야에서는 세종, 경기 연천, 강원 정선, 충북 괴산, 전북 남원, 전남 고흥, 경남 거창 7선정되었다.

정부는 읍·면을 대상으로 타 지역민 유입을 위한 마을 자체 수익원 발굴최소한의 경제활동 보장될 수 있도록 지역 고유 자원(역사, 문화 등)활용시설 조성 및 프로그램 기획지원한다.

 

지역특성 활용 로컬디자인 분야에서는 인천, 대전, 울산 북구, 경기 안산, 충남 예산, 전남 진도, 경북 칠곡 7이 선정되었다.

지역 고유 특색이미지화하여 거리, 공공시설 등적용하고, 관광 프로그램 등과의 연계를 통해 로컬디자인활용도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일자리 정책추진할 수 있도록 분산된 일자리 시설·인력·정보 통합지원하는 일자리지원센터 활성화 분야에는 전남, 대구 수성, 전북 익산 3선정되었다.

 

전통시장 주변 편의시설 조성 분야에서는 충북 단양, 충남 천안, 경북 청도, 경남 고성 4선정되었다.

정부는 전통시장지역 특색반영함으로써 방문객 증대로 인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매출 증가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시장유인·고객편의 시설 조성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등을 지원한다.

 

골목상권별 환경적합특성화 사업 추진으로 지역경제 활력 높이기 위한 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분야에는 부산 동래, 대구 동구, 대구 북구, 경기 의왕, 전남 목포, 경북 청송 6선정되었다.

 

최병관 지방재정경제실장지방소멸 위기극복하고 지역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이 대체 불가능한 고유한 특성최대한 발휘해야 한다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이 비교우위를 가짐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의 동력으로 작용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지역특성살리기 사업 공모 결과(27개 지자체)

단위 : 백만원

유형 지자체 사업 총사업비 특교세 지방비
1 소규모 마을경제 활력제고 세종 아미산 아래 미래를 그리는 연동면 노송마을
마을회관 리모델링(사랑방, 마을슈퍼마켓, 체험장 등), 마을보호수 경관개선, 농촌체험 프로그램 제공
200 100 100
2 경기
연천
청산 초성리역 문화공간 조성
()초성리역 광장 환경개선 및 역사 내 주민· 방문객을 위한 쉼터형 문화공간 조성
400 200 200
3 강원
정선
이끼 커뮤니티 카페 조성
유휴시설 리모델링을 통해 이끼테마 커뮤니티 카페, 정원, 돌담길 등을 조성
400 200 200
4 충북
괴산
칠성마을 골목박물관 거리 조성
골목박물관 전시장 공공디자인, 거리 환경개선, 플리마켓 운영 등 프로그램 마련
400 200 200
5 전북
남원
하주마을 다시 청춘 프로젝트
농협 폐창고 리모델링을 통해 발효테마 마을카페 조성, 발효체험·농촌체험 프로그램 운영
400 200 200
6 전남
고흥
사랑방 손님과 유자역사관
대청마을 유휴 커뮤니티센터 리모델링하여 대청유자 역사관조성, 관련 교육·체험프로그램 운영
400 200 200
7 경남
거창
대바지 진상 무부활사업
마을 유휴지 활용 무밭 조성, 주말 체험농장 운영, 무 요리교실, 마을 사찰체험 등 프로그램 제공
400 200 200
8 지역특성을 활용한 로컬디자인 인천 인천섬 통합 로컬디자인, 노을바다역 168
인천섬 통합브랜드(‘노을가도’) 플랫폼 구축,
덕적도 선착장·바다역·시장 등 디자인 시범적용
1,000 500 500
9 대전 밝은 빛 궁동 D-스타조성
통합 로컬브랜드 개발, 골목 디자인(파클렛 조성), 창업문화확산 프로그램 운영
900 450 450
10 울산
북구
울산숲 Beyond 100
울산숲 통합브랜드 개발, 폐선부지·거점공간 등 디자인 적용,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발굴
900 450 450
11 경기
안산
다문화마을특구 스마트디자인 빌리지
통합브랜드개발, 다문화마을특구 스트리트몰 조성, 음식특화거리 디자인, 맛투어 프로그램 제공
1,000 500 500
12 충남
예산
통합로컬브랜딩 및 주교로 공공디자인
통합 로컬브랜드 개발, 빈점포 유휴공간 이용 공공디자인 실험존 조성
900 450 450
13 전남
진도
녹진관광지 상권 특화가로 조성
명량 모티브 로컬디자인 공공시설물 확충,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주말장터 리모델링
900 450 450
14 경북
칠곡
미군부대 특화거리 조성
로컬브랜드 개발, 로컬·커뮤니티공간 디자인 적용, 관문조형물, 야간경관, 파클렛쉼터 등 조성
1,000 500 500
15 일자리 지원센터 활성화 전남 전남일자리플랫폼 서부센터 시설개선
센터 장소이전 통한 서비스공간 확대, 일자리 통합정보플랫폼 운영으로 일자리서비스 다양화 도모
725 360 365
16 대구
수성
수성구창업·일자리센터 확장 이전
분산된 창업·일자리센터를 수성대학교 내 시설로 통합 확장·이전하여 취·창업 지원역량 제고
1,000 500 500
17 전북
익산
익산시 통합일자리센터 구축
4개의 분산된 일자리센터를 통합하여 일자리지원 플랫폼 구축, 수요맞춤형 원스톱 구직서비스 제공
1,000 500 500
18 전통시장 편의시설 조성 충북
단양
단양구경시장 가면 다있다!’ 일거()다득 공간 만들기
작은도서관·갤러리·문화광장 등 고객쉼터 문화공간 조성, 이동약자 편의 개선, 마늘조명등 설치
600 300 300
19 충남
천안
천안 별빛우물 성정시장 개선
게이트 개선, 안내사인 시인성 강화, 방문객 쉼터공간, 무인 공유카트 대여소 조성
900 450 450
20 경북
청도
()Fe(stival)(상공인)(), 활력넘치는 청도시장
주출입구 디자인·환경 개선, 방문객 쉼터 확충, 빈점포 활용 먹거리타운 조성
1,000 500 500
21 경남
고성
고성공룡시장 힐링환경 조성
디자인·보행로 개선 등 골목 바닥환경 정비,
문화공간 신설 및 옥상힐링캠핑존 조성
600 300 300
22 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부산
동래
동래방래 가는 길_명륜1번가 프로젝트
진입관문 상징물, 바닥디자인, 그래픽파사드 등 조성,
상인역량 교육, 청년창업 모집, 골목길 디자인 개발
900 450 450
23 대구
동구
우리 모두 동대구로, hote-끌림
랜드마크 설치, 특화브랜드 개발, 공공시설물 디자인 거리환경 개선, 빈점포 활용 복합커뮤니티센터 조성
1,000 500 500
24 대구
북구
함지산먹골촌 골목상권 활성화
스트리트 뮤지엄 운영, 사인물·보행로 디자인, 함지쉼터 조성, 주민참여(‘함지산운동) 브랜딩
480 240 240
25 경기
의왕
청계맑은숲먹거리마을 파란곰계곡 조성
가로등 아트 조형물, 이색 특화거리, 인터렉티브 보행공간, 상권 랜드마크 등 조성
700 350 350
26 전남
목포
뒷개 청춘골목 상권활성화
뒷개캐릭터·BI 개발, 시장 내 테마골목 구축, 지역민 네트워킹 커뮤니티 조성, 국도1호선 영화제 개최
900 450 450
27 경북
청송
달빛 내려앉은 달기약수거리 활성화
가로환경 정비, 문화복합공간 로컬 앵커스토어 건립, 지역자원 활용 체험관광 플랫폼 조성
2,000 500 1,500

 

지역특성살리기 사업공모 우수사례

소규모 마을경제 활성화
로컬디자인
일자리지원센터와 편의시설
골목경제 활성화

 

 

지역특성살리기 사업 개요

 

(추진배경) 지역 특성화 사업추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

(총사업비) 200억원(특교세 100억원, 지방비 100억원)

(업내용) 지자체 환경 자원 지역특성을 활용지역경제활성화 목적의 5대 과제를 선정, 지자체가 지역 여건을 반영하여 추진

(추진경과) 사업공모(5.12.~6.30.)실무검토(~7.14.)서면심사(8.8.) 현장심사(8.16.~9.22.)최종선정(10.5.)

(소규모 마을 경제 활력제고) 지역대표 자원(자연, 동물, 사람)활용 경관개선 등 정비를 통한 읍면 단위 이하 유동인구 유입

산책길, 연못, 공원, 둘레길, 꽃밭 조성 외, 나비, 반딧불 등 지역자원 특색을 활용한 환경 조성 등 지원

(지역특성 활용 로컬디자인) 지역정체성과 특성을 반영공공시설물거리 미관 개선으로 지역상권 및 관광 활성화

벤치, 의자, 정류장, 자전거 정차대, 휴지통, 음수대 등 시설물에 대한 지역상징물을 적용한 디자인을 적용해 거리브랜드 이미지 형성

(일자리지원센터 활성화) 지역 주민에게 지역기업의 고용수요를 알리고 창업정보를 제공하는 등 일자리 원스톱 서비스 제공

일자리 지원과 관련한 공간(일자리 지원센터), 정보(통합정보 플랫폼), 프로그램(취창업 프로그램)의 통합제공체계 구축

(전통시장 주변 편의시설 조성) 전통시장 주변에 실내놀이터 등 편의시설 등 조성을 지원하여 낙후된 이미지 및 접근성 개선

어린이 동반 주민, 젊은층 등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키즈카페 등 편의시설 확충

(맞춤형 골목경제 활성화) 골목상권을 유동인구 등 고려, 고밀도저밀도 지역으로 구분하고 상권 특성화 및 상권의 공동체 기능 지원

지역 특성화 골목 조성 및 지역 커뮤니티 중심의 상권 유지 지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