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후의 한국사회가 궁금하면, 통계를 봐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임영일)이 2024년 9월 12일, 2022~2052년까지 2022년 기준 장래가구추계 작성 결과를 설명했습니다.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장래가구추계(통계청)

 

1. 총가구는 2022년 2,166만에서 2041년 2,437만으로 정점을 찍고 감소할 것이다.

(총가구) 2022년 총가구는 2,166 4천 가구에서 20412,4372천 가구까지 증가한 후 감소, 2052년에는 2,3277천 가구에 이를 전망입니다. 

(가구증가율) 2022년 총가구는 전년에 비해 1.84% 증가하나, 가구증가율은 점차 감소하여 2042년부터는 마이너스로 전환, 2052년에는 -0.73% 수준으로 예상

(평균 가구원수) 2022년 평균 가구원수는 2.26명에서 점차 감소하여 20521.81명까지 감소할 전망

총가구 및 가구증가율

 

(생각해보기)
총가구가 2041년에 최고 정점에 도달한다면, 앞으로 20년 동안 가구수는 증가한다는 말인데,
가구수가 증가한다면 주택에 대한 수요도 늘어난다고 봐야 하나?
그렇다면, 집값이 떨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총 가구원수가 2.26명에서 점차 감소한다면, 소형 평수의 주거공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 2025년까지 1인가구 및 부부가구는 증가하지만, 부부+자녀가구는 감소한다. 

(가구유형) 2022년 가구유형은 1인가구(34.1%), 부부+자녀가구(27.3%), 부부가구(17.3%) 등의 순으로 많았으나, 2052년에는 1인가구(41.3%), 부부가구(22.8%), 부부+자녀가구(17.4%) 으로 변화할 전망

(가구원수) 2022년 가구원수별 가구 비중은 1인가구(34.1%), 2인가구(28.6%), 3인가구(19.3%), 4인가구(14.1%) 순이며, 2052년에는 1인가구(41.3%), 2인가구(35.5%)는 증가하는 반면, 4인가구(6.7%)는 감소할 전망

가구유형별 구성비와 가구원수별 구성비

 

(생각해보기)
부부+자녀가구는 줄어든다는 이야기다. 큰집에 대한 수요가 줄어든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식품이나 상품도 큰 묶음 보다 조금씩 소량 구매할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4인 기준이라는 말은 사라져야 할 것 같다. 1~2인 기준으로 바뀌는 세상이 더 강화될 것이다. 
1인 가구는 앞으로도 20년 동안 계속해서 증가한다. 

 

 

3. 1인가구는 739만에서 2052년 962만으로 계속 증가한다. 

(가구 비중) 2022년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은 34.1%(7389천 가구)에서 205241.3%(962만 가구)7.2%p(2231천 가구) 증가할 전망

(가구주 연령) 20221인가구 중 30대이하의 비중이 36.6%(2707천 가구)가장 높으나, 2052년에는 70대이상이 42.2%(4063천 가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

1인가구 연령별 규모와 구성비

(생각해보기)
1인가구는 계속 증가하는데, 주로 20~30대와 50대 이후 연령에서 많다. 
즉, 애 키우는 30~40대를 제외하면, 모두 1인가구로 변해간다고 생각된다. 
50대 이후의 나이대에서는 거의 다 1인가구를 향해 달려간다고 봐야한다. 

 

4. 고령가구는 앞으로 30년 후에 2배로 증가한다. 

(고령자 가구) 가구주가 65세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5225천 가구(24.1%)에서 20521,1788천 가구(50.6%)2.3배 증가할 전망

성 연령별 가구주

 

(생각해보기)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은 지금 50~60대 남자가 많지만, 30년 후에는 70~80대 여자로 넘어갈 것이다. 
 

 

 2022년에 독거노인(65세 이상 가구주) 비중은 26.0%에서 2052년 51.6%로 늘어날 전망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