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교육기본통계(요약)

교육기본통계는 매년 4.1.을 기준으로 전국 유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 교육청 등 교육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교육부가 8월에 발표한 것입니다.

 

유초중등교육

중등학교 수는 전체 20,605개교로 전년 대비 91개교 감소

유치원은 8,441개원으로 전년 대비 121개원 감소, 초등학교는 6,175개교로 12개교 증가, 중학교는 3,265개교로 7개교 증가, 고등학교는 2,379개교로 6개교 증가

 

중등 전체 학생 수5,783,612명으로 전년 대비 96,156(1.6%) 감소

유치원생 수는 521,794명으로 전년 대비 31,018(5.6%) 감소, 초등학생 수는 2,603,929명으로 60,349(2.3%) 감소, 중학생 수는 1,326,831명으로 21,597(1.6%) 감소, 고등학생 수는 1,278,269명으로 15,921(1.3%) 증가

고 여학생 수2,787,437명으로 전년 대비 44,959명 감소하였으나, 여학생 비율은 전년도와 동일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여학생 비율은 각각 49.3%, 48.8%, 48.5%, 48.2%로 전년 대비 초등학교, 고등학교는 각각 0.1%p 증가, 유치원, 중학교는 전년도와 동일

·중등학교(각종학교 포함)의 다문화 학생 수는 181,178명으로 전년 대비 12,533(7.4%) 증가

초등학교는 115,639명으로 전년 대비 3,999(3.6%) 증가, 중학교는 43,698명으로 전년 대비 3,984(10.0%) 증가, 고등학교는 21,190명으로 전년 대비 4,446(26.6%) 증가, 각종학교는 651명으로 전년대비 104(19.0%) 증가

·중등학교(각종학교 포함)의 다문화 학생 수는 181,178명으로 전년 대비 12,533(7.4%) 증가

국제결혼가정(국내출생)의 다문화 학생은 전체 다문화 학생의 71.7%

부모의 출신 국적별 다문화 학생 비율()은 베트남이 32.1%(58,136)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중등학교의 전체 교원 수는 508,850으로 전년 대비 1,057(0.2%) 증가

학제별 교원 수는 유치원 55,637, 초등학교 195,087, 중학교 114,800, 고등학교 130,610명으로 전년 대비 유치원 1,941(3.6%) 증가, 초등학교 50(0.03%) 증가, 중학교 873(0.8%) 감소, 고등학교 476(0.4%) 감소

 

고 교원의 평균 연령은 전년 대비 0.1세 증가한 41.4

유치원 교원은 35.7세로 전년 대비 0.7세 증가, 초등학교 41.4세로 전년 대비 0.2세 증가, 중학교 42.6세로 전년도와 동일, 고등학교 42.7세로 전년 대비 0.2

전체 교원 대비 여성교원은 73.2%로 전년 대비 0.5%p 상승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여성교원 비율은 각각 98.3%, 77.0%, 72.2%, 58.1%, 초등학교는 전년 대비 0.2% 감소하였고, 중학교, 고등학교는 전년 대비 각각 0.6%p, 1.0%p 상승하였고, 유치원은 전년도와 동일

 

중등학교의 전체 직원 수는 205,653명으로 전년 대비 364(0.2%) 증가

유치원 26,781, 초등학교 94,815, 중학교 39,005, 기타학교 7,542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91(0.3%), 421(0.5%), 22(0.1%), 146(2%) 증가 하였고, 고등학교 직원 수는 37,510명으로 316(0.8%) 감소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유치원 9.4, 초등학교 13.3, 중학교 11.6, 고등학교 9.8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는 전년 대비 각각 0.9, 0.4, 0.1명 감소, 고등학교는 0.2명 증가

 

학급당 학생 수는 유치원 16.1, 초등학교 20.7, 중학교 24.6, 고등학교 22.9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전년 대비 0.6, 0.4, 0.4명 감소, 고등학교는 전년 대비 0.3명 증가

 
 

고등교육

’23년 고등교육기관 수424개교로 전년 대비 2개교 감소*

* 전문대학 1개교(한국복지대학교), 대학원대학 1개교(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폐교

(단위: 개교)
법령 구분 ’22(A) ’23(B) 증감
(B-A)
비고
총 계 426 424 2
고등교육법 일반대학 184 184 - * ’18년부터 분교(5개교)를 포함
산업대학 2 2 - 청운대학교, 호원대학교
교육대학 10 10 - 공주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전문대학 133 132 1 한국복지대학교 폐교
방송통신대학 1 1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이버
대학
대학과정 17 17 -
전문대학과정 2 2 - 영진사이버대학교, 한국복지사이버대학
기술대학 1 1 - 정석대학
각종
학교
대학과정 2 2 - 순복음총회신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대학과정 - - -
대학원 대학원대학 42 41 1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폐교
대학부설 대학원 <1,111> <1,165> <54>
평생교육법
(31조제4, 32, 33)
전공대학 3 3 - 국제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정화예술대학교
원격대학
형태의 평생교육시설
대학과정 1 1 - 영남사이버대학교
전문대학과정 1 1 - 세계사이버대학
사내대학
형태의 평생교육시설
대학과정 3 3 - 삼성전자공과대학교, KDB금융대학교,
LH토지주택대학교
전문대학과정 5 5 - 삼성중공업공과대학, SPC식품과학대학,
대우조선해양공과대학,
현대중공업공과대학, 포스코기술대학
근로자직업
능력 개발법
(2조제5)
기능대학 9 9 - ICT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
기타 개별 법률에 따라 설치된 고등교육기관 일반대학 6 6 - 한국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대학원대학 3 3 - 한국학대학원,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대학부설 대학원 <11> <12> <1>
전문대학 1 1 - 한국농수산대학교
1) < > 안은 대학부설 대학원으로 총계에서 제외됨
2) 폐교는 학교 수에서 제외됨
3) ’18년부터 일반대학 학교 수에 분교(5개교)가 포함됨
 

고등교육기관 재적학생 수는 3,042,848명으로 전년 대비 74,692(2.4%) 감소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재적학생 수는 전년 대비 각각 33,325(1.8%), 30,137(5.6%) 감소, 대학원은 전년 대비 2,689(0.8%) 증가

 

고등교육기관의 학사학위취득유예생 수는 15,282명으로 전년 대비 762(4.7%) 감소

재적학생 대비 학사학위취득유예생의 비율()은 일반대학 0.8%(14,987), 전문대학 0.04%(227), 기타 0.02%(68)로 일반대학의 학사학위취득유예생 비율이 가장 높음

 

고등교육기관의 재학생 수는 2,324,517명으로 전년 대비 10,770(0.5%) 감소

일반대학, 대학원의 재학생 수는 전년 대비 각각 8,278(0.6%), 2,220(0.8%) 증가, 전문대학은 전년 대비 14,667(3.8%) 감소

고등교육기관의 휴학생 수는 703,049명으로 전년 대비 63,160(8.2%) 감소하였고, 재적학생 중 휴학생 비율*23.1%로 전년 대비 1.5%p 하락

* 휴학생 비율(%) = (휴학생 수 / 재적학생 수) × 100

일반대학, 전문대학 휴학생 수는 전년 대비 각각 40,908(8.2%), 15,403(10.1%) 감소, 대학원은 469(1.1%) 증가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자 수는 691,013명으로 전년 대비 3,588(0.5%) 감소

일반대학과 대학원의 입학자 수는 전년 대비 각각 596(0.2%), 546(0.4%) 증가, 전문대학은 전년 대비 3,640(2.2%) 감소

 
 

고등교육기관의 졸업자 수는 663,351명으로 전년 대비 6,548(1.0%) 감소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졸업자 수는 전년 대비 각각 21,325(6.3%), 10,523(6.6%) 감소, 대학원은 전년 대비 17,357(17.1%) 증가

 
 

학위과정 외국 학생 수는 129,240(71.1%)으로 전년 대비 4,437(3.6%) 증가, 고등교육기관 재적학생(3,042,848)4.2%를 차지

비학위과정 외국 학생 수는 52,602(28.9%)으로 전년 대비 10,513(25.0%) 증가

 
 

 

전체 외국 학생 중 중국 학생은 37.4%(68,065)로 전년 대비 0.9%(626) 증가

중국 37.4%(68,065), 베트남 23.8%(43,361), 우즈베키스탄 5.7%(10,409), 몽골 5.7%(10,375), 일본 3.2%(5,850) 순으로 주로 아시아 국가의 학생 비율이 높음

 

학위과정 외국 학생 중 중국 학생의 비율() 46.7%(60,356), 베트남 학생은 20.5%(26,500)로 전년 대비 각각 0.3%(165), 1.5%(415) 감소

중국 46.7%(60,356), 베트남 20.5%(26,500), 우즈베키스탄 7.2%(9,278), 몽골 4.6%(5,891), 네팔 2.2%(2,891) 순으로 아시아 국가의 학생 비율이 높음

출신국가별 외국 학생 수 (단위: , %)
연도 합계 중국 베트남 우즈벡 몽골 네팔 기타 아시아
’23 129,240 60,356(46.7) 26,500(20.5) 9,278(7.2) 5,891(4.6) 2,891(2.2) 24,324(18.8) 121,434(94.0)
’22 124,803 60,521(48.5) 26,915(21.6) 8,249(6.6) 4,800(3.8) 2,285(1.8) 22,033(17.7) 117,555(94.2)
’21 120,018 59,774(49.8) 24,984(20.8) 7,658(6.4) 4,916(4.1) 2,620(2.2) 20,066(16.7) 113,259(94.4)
’20 113,003 59,177(52.4) 19,160(17.0) 7,441(6.6) 5,230(4.6) 2,246(2.0) 19,749(17.5) 106,467(94.2)
’19 100,215 56,107(56.0) 13,221(13.2) 5,230(5.2) 4,569(4.6) 1,524(1.5) 19,564(19.5) 93,650(93.4)
’18 86,036 51,790(60.2) 7,801(9.1) 3,147(3.7) 3,457(4.0) 1,145(1.3) 18,696(21.7) 79,408(92.3)
’17 72,032 44,606(61.9) 4,698(6.5) 1,721(2.4) 2,723(3.8) 601(0.8) 17,683(24.5) 65,487(90.9)
’16 63,104 38,958(61.7) 3,466(5.5) 1,083(1.7) 2,279(3.6) 525(0.8) 16,793(26.6) 56,702(89.9)
’15 55,739 34,887(62.6) 2,579(4.6) 707(1.3) 2,145(3.8) 491(0.9) 14,930(26.8) 49,908(89.5)
’14 53,636 34,482(64.3) 2,148(4.0) 481(0.9) 2,236(4.2) 409(0.8) 13,880(25.9) 48,031(89.5)
’13 56,715 38,394(67.7) 2,153(3.8) 419(0.7) 2,490(4.4) 394(0.7) 12,865(22.7) 51,497(90.8)
’12 60,589 43,951(72.5) 1,889(3.1) 384(0.6) 2,631(4.3) 325(0.5) 11,409(18.8) 56,143(92.7)
’11 63,653 47,725(75.0) 1,940(3.0) 387(0.6) 2,515(4.0) 330(0.5) 10,756(16.9) 59,557(93.6)
’10 60,000 45,944(76.6) 1,667(2.8) 343(0.6) 2,196(3.7) 291(0.5) 9,559(15.9) 56,418(94.0)
1) 출신국가별 외국 학생 비율(%) = (출신국가별 학위과정의 외국 학생 수 / 해당연도 학위과정의 총 외국 학생 수) × 100
2) 출신국가별 외국 학생에는 해당 국가의 재외동포가 포함됨
3) 기타에는 중국,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몽골, 네팔 이외의 모든 국가가 포함됨
4) 아시아에는 한국과 북한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의 학생 수가 포함됨
상기 <>’23년 기준 국내 학위과정에 있는 외국 학생 수가 많은 국가 순으로 나열함
 

고등교육기관의 전체 교원 수는 232,475명으로 전년 대비 804(0.3%) 증가

 

일반대학, 대학원대학은 전년 대비 각각 1,352(0.8%), 145(4.9%) 증가, 교육대학, 전문대학은 110(3.7%), 762(2.0%) 감소

 

고등교육기관의 전임교원 수는 88,165명으로 전년 대비 1,092(1.2%) 감소

일반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은 전년 대비 각각 775(1.1%), 4(0.5%), 447(3.8%) 감소, 대학원대학은 92(5.6%) 증가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현황 (단위: , )
계열 분류
코드
학과 수 재적학생 수 교원 수
합계 재학생 휴학생 학사학위
취득유예생
전임 비전임
합계 30,726 3,042,848 2,324,517 703,049 15,282 87,715 136,217
인문계열 01 3,163 314,757 244,311 68,436 2,010 10,902 21,571
사회계열 02 7,186 755,961 575,238 175,452 5,271 14,496 25,532
교육계열 03 2,799 181,894 151,649 29,865 380 5,038 11,202
공학계열 04 7,635 811,667 577,605 229,609 4,453 19,904 21,458
자연계열 05 3,627 307,508 235,531 70,385 1,592 9,724 11,536
의약계열 06 2,186 311,327 266,698 44,418 211 20,193 17,598
예체능계열 07 4,130 359,734 273,485 84,884 1,365 7,458 27,320
1) 학과(전공)분석 및 학과(전공) 분류 체계 연구(2001)에 따른 자료임
2) 학생 및 교원의 소속학과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소속학과가 없는 교원은 제외됨
 
 

 


좋아요(♥)와 댓글을 남겨주시면 많은 힘이 될 거예요.

화면 왼쪽 하단에서 "보뜰행정사 구독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보뜰행정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