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와 독감의 차이, 그리고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종류

반응형

요즘 감기와 독감이 함께 유행하고 있습니다. 

감기(독감)에 걸렸는데 2주일이나 지났는데 계속되고 있다고 하시는 분도 있고, 독감으로 폐렴에 걸려 병원에 입원하신 분도 주위에 있어서 걱정입니다. 

감기는 약 먹으면 1주일, 약 안 먹으면 7일이면 낫는다는데 맞나요? 대체로 그랬던 것 같습니다. 감기약이라는 것이 치료하는 효과를 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단지 신체적 증상(콧물, 열, 재채기 등)을 감소시켜 일상생활을 계속하기 쉽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감기약 없으면 아프다는 이유로 쉴 수 있는데 감기약 때문에 쉬지 못하고 계속해서 일하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인체가 보내는 신호(아프니까 좀 쉬라)를 무시하면 건강에 치명적 위험을 주겠지요.

 

지난주(2024년 12월 22일~28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가 2016년 이래 최고 수준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65세 이상 어르신, 어린이 등은 인플루엔자 백신을 서둘러 접종해 달라고 3일 당부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최근 인플루엔자가 급속도로 유행하고 있고 통상적으로 봄철까지 유행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어린이와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들은 지금이라도 꼭 인플루엔자 백신접종을 받아야 한다”라고 권고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체온을 재고 있는 어머니와 아이

 

1. 감기와 독감의 차이는?

아주 간단한 결론
감기는 콧물과 목 통증이 주요 증상입니다. 
독감은 고열과 극심한 피로가 주요 증상입니다. 

자세히 알아보면,

독감과 감기는 모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지만, 원인 바이러스와 증상이 다릅니다. 다음은 두 질환을 간단히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1. 발병 속도

독감: 갑작스럽게 심한 증상이 시작됩니다.
감기: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며 경미하게 시작됩니다.

2. 주요 증상 비교


3. 지속 기간

독감: 보통 1~2주 정도 지속되며, 심각한 피로는 더 오래갈 수 있습니다.
감기: 7~10일 내에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원인 바이러스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형, B형).
감기: 라이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RSV 등 다양한 바이러스.



5. 치료 및 예방

독감: 항바이러스제(예: 오셀타미비르) 사용 가능. 매년 독감 백신으로 예방 가능.
감기: 대증요법(충분한 휴식, 수분 섭취)으로 관리. 백신 없음.

 

 

2. 독감의 종류는?

독감(인플루엔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A형, B형, C형, D형으로 분류됩니다.

이 중 사람에게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A형과 B형입니다.

A형 독감은 가장 널리 퍼지고 심각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독감 유형입니다.

 

A형 독감이란?

  • A형 독감은 사람뿐만 아니라 조류, 돼지, 말 등 다양한 동물에도 감염될 수 있는 독감 바이러스입니다.
  • A형 독감 바이러스는 **헤마글루티닌(HA)**과 **뉴라미니데이스(NA)**라는 두 가지 단백질로 구성된 표면 항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변이에 따라 다양한 아형(subtype)으로 나뉩니다.
  • 현재까지 알려진 A형 독감의 주요 아형은 H1N1, H3N2 등이 있습니다.

 

H1N1 독감과 H3N2 독감의 차이

  1. H1N1 독감
    • H1N1은 A형 독감의 아형으로, "스페인 독감"으로 알려진 1918년 대유행과 2009년 신종플루 팬데믹의 원인이었습니다.
    • 2009년 신종플루(H1N1)는 조류, 인간, 돼지 독감 바이러스 유전자가 재조합된 새로운 형태였습니다.
    •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감염력은 강하지만 사망률은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
  2. H3N2 독감
    • H3N2는 A형 독감의 또 다른 주요 아형으로, 1968년 "홍콩 독감" 팬데믹을 일으켰습니다.
    • 현재 계절성 독감 바이러스 중 하나로 매년 유행하며, 주로 고령층에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H3N2는 H1N1에 비해 변이가 더 잦아 백신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때도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특징 H1N1 독감 H3N2 독감

발생 연도 1918년(스페인 독감), 2009년(신종플루) 1968년(홍콩 독감)
주요 대상 젊은 연령층 고령층 및 만성질환자
변이 속도 상대적으로 느림 빠름
증상 심각성 감염력 높음, 사망률 낮음 고령층에서 더 심각함
백신 효과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 변이로 인해 효과 감소 가능성

 

 

3. 감기에 걸렸다가 독감에 걸리는 경우도 있는가?

 

나는 감기에 걸렸다가 나았으니까 이제 괜찮다?!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 감기에 걸린 사람이 회복 중에 독감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면역 체계가 약해져 독감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겨울철 유행기에는 감기와 독감이 동시에 퍼지기 때문에 감기에 걸린 후 바로 독감에 감염되는 사례가 흔히 발생합니다.

 

 

  • 한 가족 내에서 A가 감기에 걸렸지만, 며칠 후 독감 바이러스를 가진 B와 접촉하여 독감에 걸리는 경우.
  • 감기에 걸려 면역력이 약해진 상태에서 독감 바이러스가 체내에 들어오면 독감 증상이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