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건복지부의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6.5%는 건강이 악화돼 거동이 불편해져도 재가 서비스를 받으며 집에서 계속 살기를 희망했다. 2019년 서울대 고령사회연구단 조사에서도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임종 장소는 자택(37.7%)이었다.
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국내 사망자 70.0%는 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반면 네덜란드(23.3%) 미국(36.0%) 등은 이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OECD 평균은 49.1%였다.
3. 김민철 서영대 사회복지행정과 교수는 “집에서 죽는다는 건 노인이 익숙한 공간에서 주체적으로 살면서 ‘내가 나로서 살아가는 즐거움’을 잃지 않고 존엄한 죽음을 맞이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동아일보, 240724)
4. 챗 GPT와의 대화에서 관련 주제에 대한 이슈
최근 "Aging in Place"에 대한 여러 언론 보도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개념은 노인이 익숙한 자신의 집에서 가능한 한 오랫동안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1. 증가하는 수요와 서비스 확장: 많은 노인들이 가능한 한 오래 집에서 살기를 원하며, 이에 따라 가정 내 지원 서비스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식사 배달, 교통 지원, 심부름 서비스, 그리고 동반자 돌봄 등이 있습니다 (Innovative Aging Studies).
2. 노인 요양원 감소: 뉴잉글랜드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요양원이 문을 닫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노동력 부족과 낮은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보상률로 인해 발생하며, 많은 주에서 노인의 재택 생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사추세츠 주의 홈케어 프로그램은 이러한 정부 주도적인 노력의 한 예입니다 (Skilled Nursing News).
3. 기술의 역할: 인공지능(AI)과 같은 기술의 발전이 노인 돌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AI는 돌봄 서비스의 인력 문제를 해결하고, 노인들이 더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ge in Place Tech).
4. 인종 및 민족 간 격차: 최근 연구는 노인의 인종 및 민족에 따른 재택 생활 준비 상태의 차이를 강조합니다. 흑인, 히스패닉, 다인종 노인은 더 낮은 소득과 건강 상태로 인해 재택 생활에서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흑인 노인의 경우 고독한 생활을 하는 비율이 높고, 동거인 중 장애를 가진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ed Xpress).
5. 사회적 및 정신적 지원의 필요성: 노인이 집에서 오래 생활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물리적 지원뿐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 지원도 중요합니다. 특히, 노인을 위한 정신 건강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접근성 개선이 필요합니다 (Innovative Aging Studies).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노인의 "Aging in Place"를 지원하는 새로운 방법과 정책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 주제는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2024.07.24 - [업무 안내/행정정보] -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방안] 대학교 안에 노인주거시설 들어선다
728x90